KING JESUS
개방형 질문 본문
개방형 질문
(내담자 탐색)
1. 내담자 : "나는 어제 시험 성적을 받았어요."
-상담자 의도 : 내담자가 시험 성적을 받고 구체적으로 어떤 느낌과 정서를 받았는지 스스로 자신을 탐색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.
일반적으로 시험 성적을 받으면 자신에 대한 평가절하를 하기 쉽다. 그래서 상담자의 질문에 부정적인 답변이 나오는 것이 일반적이다. 그리고 내담자는 자신도 모르게 해결책을 가지고 있지만 구체적으로 끄집어 낼 수 있는 능력이 부족하기에 그 답을 찾을 수 있게 해주는 것이 상담자의 역할인 것 같다.
-상담자 반응 :
① "시험성적을 받고 어떤 느낌이 들었나요?"
② ( "만약 ~ 한다면" )이런 답변을 나올 수 있게 도와준다.
③ "당신이 ~ 하지 못하는 것에 대해 더 이야기해 주세요."
④ " ~ 때 어때요?"
⑤ " ~ 대해 생각하는 지금 심정은 어때요?"
ex)
내담자 : 나는 어제 시험 성적을 받았어요.
상담자 : " 시험 성적을 받고 어떤 느낌을 들었나요? "
내담자 : 좀 더 열심히 할 걸하고 후회하는 마음이 많이 들었어요.
상담자 : " 무엇 때문에 후회했는지 더 이야기 해 주실 수 있나요?. "
내담자 : 대학원 종합시험을 치렸는데 미리 계획을 잡지 못하고 갑자기 시험 한번 쳐봐야겠다고 결정해서 범위를 전체적으로 보지 못하고 시험에 나올 만한 것만 공부한 것이 너무 큰 화근이였던 것 같아요. 다음에는 몇 달 전부터 계획을 잡고 공부를 해야겠어요.
2. 내담자 : "나는 한 여대생이 너무 취해서 죽었다는 뉴스를 보았어요."
-상담자 의도 : 내담자가 그 뉴스를 보고 어떤 교훈과 어떤 정서를 가졌는지에 대해서 스스로 탐색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.
-상담자 반응 :
ex)
내담자 : " 나는 한 여대생이 너무 취해서 죽었다는 뉴스를 보았어요."
상담자 : " 그 뉴스가 당신에게 어떤 의미가 있나요?"
내담자 : " 술을 너무 과하게 마시지 말아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어요."
" 한국 대학 술문화와 사회문화를 많이 바꾸어야겠다는 생각이 들어요."
상담자 : (먹는다면) " 당신은 술을 먹는 습관이 어떤가요?"
or "(안 먹는다면) " 대학교에 다니는 여학생들의 술문화는 어떤가요?
3. 내담자 : "우리는 쌀쌀한 분위기와 어떻게 하여 여학생들이 남학생들만큼 교실에서 지명되지 않는가에 대한 수업 이야기를 했어요."
-상담자 의도 : 수업내용이 쌀쌀하고 남학생들이 왜 지명이 더 되는지에 대해 문제를 내담자가 스스로 파악하게 하고 긍정적이고 발전적인 수업내용을 가질려면 어떻게 해야되는지 스스로 답을 찾을 수 있도록 도와준다.
-상담자 반응 :
ex)
내담자 : "우리는 쌀쌀한 분위기와 어떻게 하여 여학생들이 남학생들만큼 교실에서 지명되지 않는가에 대한 수업 이야기를 했어요."
상담자 : "이런 수업이야기를 나눌 때 당신은 어떤 생각이 드셨나요?"
내담자 : 수업분위기가 생기있고 긍정적인 분위기가 되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어요.
상담자 : " 수업이 쌀쌀해질 때 당신의 느낌(마음)은 어떤가요?"
내담자 : 너무 냉냉해서 수업이 빨리 끝났으면 하는 바램뿐이죠.
상담자 : 어떻게 수업이 쌀쌀해지고 여학생들이 남학생만큼 교실에서 지명되는 것이 적다고 보시나요?"
내담자 : 그것은 남학생들이 너무 떠들어서 선생님이 너무 엄격하게 나오기 때문인 것 같아요.
상담자 : " 이것에 대해서 더 자세히 이야기 해 주시겠어요. "
내담자 : 몇 몇 떠드는 남학생들이 서로 너무 가까이에 있어서 그 소리가 전체 학급분위기를 망치는 것 같고 떠드는 여학생들도 있지만 남학생들이 워낙 강하게 노니깐 여학생들도 주눅들어서 선생님께 더 지명되지 않는 것 같아요.
상담자 : " 그러면, 당신은 이 문제에 대해서 어떤 요구를 선생님께 할 수 있을까요?"
4. 내담자 : 나는 여기에 있고 싶지 않아요. 내가 있지 않아도 된다면 여기에 있고 싶지 않아요. 그러나 나의 담당 경관은 내가 와야만 한다고 하더군요."
- 상담자 의도 : 현재 내담자가 그 환경에 대해서 불안해 하는 요소가 무엇인지 그리고 그 불안한 내면을 객관적으로 탐색할 수 있도록 원조하는데 있다.
- 상담자 반응 :
ex)
내담자 : 나는 여기에 있고 싶지 않아요. 내가 있지 않아도 된다면 여기에 있고 싶지 않아요. 그러나 나의 담당 경관은 내가 와야만 한다고 하더군요."
상담자 : " 담당 경관이 당신을 오라고 했는데 여기에 대해 어떻게 느끼나요?"
내담자 : 너무 불안해요. 혹시 내가 취조받지 않을까 하는 염려가 앞서내요. 그래서 거기에 가고 싶지 않아요.
상담자 : " 무엇 때문에 불안한지 더 자세히 이야기해 주실 수 있나요?"
내담자 : 여기 경찰서의 분위기가 너무 무서운 것 같아요. 사람들을 취조하고 사람을 가두는 철장도 있으니깐요.
상담자 : " 그럼 경찰서의 분위기가 어땠으면 좋겠나요?
'KING OF KING JESUS^^* > 심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Psychopathology(정신병리학) (0) | 2008.12.12 |
---|---|
삐아제의 인지발달 이론 (0) | 2008.12.11 |
집단심리상담의 이론과 실제-Gerald Corey 저 (0) | 2008.11.13 |
에릭슨의 자아발달이론 8단계-아주중요 (0) | 2008.03.28 |
에릭슨의 믿음과 불신 (0) | 2008.03.28 |